스프링 시큐리티를 위한 설정을 하던중에 에러 발생
생성자 주입을 하려고 했는데 해당하는 타입의 빈을
찾지 못했다는 에러가 발생했다.
사용하는 클래스의 @Import를 사용하면
필요한 클래스를 가져다가 사용할수 있다.
이렇게 패키지명을 제외하고도 작성해줄수 있다.
결론
생성자 주입을 하면은 사용하고자 하는 클래스 타입의 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행전에 알 수 있다.
후기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면 사용하고자 하는 빈의
존재 여부를 실행전에 알수 있어서
사전에 조치할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ops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her] window에 openssl 설치하기 (0) | 2025.01.12 |
---|---|
[other] curl 명령어 사용시 헤더 삽입하기 (0) | 2024.12.31 |
[other] microsoft에서 entra id의 license 변경하기 (0) | 2024.12.14 |
[other] springboot intellij에서 테스트 디렉터리 설정하기 (0) | 2024.12.13 |
[other] gradle - "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5" (1)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