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36

[mysql] docker mysql 이미지에 생성시 테이블 생성 명령어 및 테스트 데이터 입력하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도커 파일.COPY 인스트럭션에도커 이미지가 생성될때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할 데이터 파일을DB 이미지 생성시 읽어들이는 디렉터리로 옮겨 주었다.   도커 이미지 생성  생성된 이미지 실행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었다.  컨테이너의 터미널을 호스트 컴퓨터의 터미널과 연결한다.   도커 파일에 명시해놓은아이디로 DB에 접속한다.  이미지 생성시 생성한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후테이블을 조회해보면 COPY 인스트럭션에 옮겨놓은파일의 내용대로 테이블이 생성되었다. ps.ch8.mysql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https://hub.docker.com/_/mysql mysql - Official Image | Docker HubQuick r.. 2024. 10. 27.
[mysql] 리눅스 터미널에서 mysql 접속하기 리눅스 터미널과 연결한 도커 터미널에서 mysql만입력했을때 접근이 되지 않는다.  이미지를 생성할때 환경변수로 설정했던 아이디로로그인 한다.  show databases; 를 입력해서데이터 베이스가 생성 되었는지 확인한다.   myslq database는현재 로그인한 계정으로는 사용할수 있는 권한이 없는거 같다.  mysql 이미지를 생성할때 설정해놓은 root의비밀번호로 mysql에 다시 접속한다.   use mysql입력  user 테이블에서생성되어 있는 계정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2024. 10. 27.
[build-tool] Eclipse에 git 관련 설정하기 Git repository 관련 설정    상단의 Window 클릭  Show View 클릭   Other 클릭     git 검색   Git Repositories 선택     이미 깃 리포지토리인 디렉토리 이기 때문에깃과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수 있다. 이미 깃 리포지토리인 디렉토리 이기 때문에깃과 관련된 정보들을 확인할수 있다.  History 관련 설정하기 Working Tree 우클릭   Show In 클릭 후, History 클릭  Eclipse하단에 아래와 같이 Commit History를 확인할 수 있다.   Git "staging", "commit" ,"push", "pull" 관련 설정하기    Window 클릭   Show View 클릭     Other 클릭     git 검색Git.. 2024. 8. 23.
[C] 배열, 2차원 배열, 배열 포인터 1차원 배열    위와 같이 배열 주소를 가리키는 변수와배열 포인터가 있을 때 이렇게 2개의 변수가 생성이 되고  포인터 변수는 배열의 첫번째 요소의 주소값을 가리키게 된다. arr+1과 arr2+1의 결과는 모두 바로 다음요소의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   2차원 배열일때  2차원 배열과 포인터 변수가 있을때   이렇게 2개의 변수가 생성이 되고   포인터 변수는 2차원 배열 0번인덱스의 1차원 배열의첫번째 요소의 주소를 가리키게된다.  arr+1은 다음 3개의 int형 요소를 가진 1차원 배열의첫번째 요소의 주소를 가리키게 되지만,arr2+1은 arr[0][0]의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 pointer변수가 int형 요소를 가지는 1차원 배열 타입이기 때문이다.   2차원 배열타입 포인터 변수위와.. 2024. 7. 28.
[C] pointer 변수 size 각각의 포인터 변수의 크기는?  8로 동일하다 2024. 7. 16.
[C] 문자 배열 선언하기 5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배열이 있을때 사이즈는 5인가?    문자열의 마지막에 numm문자가 있기 때문에 6의 길이를 갖게 된다. 2024. 7. 16.
[C] 변수 메모리 할당 13 번째 줄에서 포인터 변수의 주소값을 출력하는코드를 작성해 놓았다.   *pb에 temp의 값을 할당하기전이므로 *pb에는 20이 담겨있다. 2,4,5 번째에 모두 같은 값이 들어있는데도메모리의 주소값이 다르다. 특히 2번째는 포인터 변수 pb의 값을 역참조 한뒤의해당 값의 주소값을 출력하면 &pb의 주소값과 다른 값이 나온다. 2024. 7. 3.
[C] struct 변수선언과 메모리 할당 위와 같이 변수가 선언되어 있을때 struct의 크기는 자료형이 가장 큰 int 형의 크기인 4byte를 기준으로4*7=28즉, 28이 될것만 같다.      하지만 크기는 16이된다. 잘 보면 char a의  주소는 "0"으로 다음 int b의 주소인 "4"까지 패딩이 포함된 크기를 가지고 있다. int b이후의 연속된 char c,d,e,f는 주소가 1byte씩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후기아마도 선언된 struct에 메모리를 할당해줄때 가장 큰 자료형을 가진 변수를 기준으로 메모리를 할당해, 자료형의 크기가 작은 변수에 패딩을 추가해 주지만,연속된 변수들의 자료형의 크기가 struct에 선언된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보다 작고 연속된 변수의 합이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와 같을때 패딩을 추가해 .. 2024. 7. 3.
[C] struct 변수 선언 순서에 따른 크기 변화 위와 같은 struct가 있을때   struct의 크기는 8이 될것이다.  char, char, int 순서로변수가 선언되어 있을때도  struct의 크기는 8이다.    그런데 char, int, char 순서로struct가 선언되어 있으면은  struct의 크기는 12가 된다.  후기오늘과 같은 개념을 숙지하고 있기 위해서는많은 관심이 필요할거 같다.  느낀점it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된 지금은 RAM이라는 존재가 그저 용량, 클럭같은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어떤 프로그램이다, 앱을구동할때 신경써야하는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프로그램이나, 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RAM이 필요하게 되고 램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다.C를 공부하면서 JAVA와는 다르게 메모리에 대해서 더 많이 .. 2024.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