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3 [linux] ssh 설정하기 server-2 에서 server-1으로ssh 접속을 하려고 한다.-> server-1은 ssh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고,server-2에는 ssh키가 생성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server-2에서 server-1으로 public 키를 복사하려고 하는데 복사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거 같다. server-1에서 ssh설정 파일을 연다. 57행의 주석을 풀어주고 설정의 적용을 위해서 ssh서버를 재시작 해준다.---> ubuntu 에서는 ssh 서버의 이름이 ssh 이다 그리고 server-2에서 다시 ssh-copy-id를 하니정상적으로 키가 복사가 되었다. server-1에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아까 풀어 주었던 주석을 .. 2024. 7. 31. [Other] vagrant - https://blog.asamaru.net/2015/12/03/vagrant-warning-authentication-failure-retrying-dot-dot-dot-after-packaging-box/ Vagrant Box Packaging 후 "Warning: Authentication failure. Retrying... " 오류가 발생할 경우 해결 방법vagrant를 사용하면서 직접 box를 만들 경우가 자주 발생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환경 구성을 위해 간혹 작업을 하게되는데 작업 과정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간혹 있다. 이번에 CentOS 7 환경을 구성blog.asamaru.net 위의 글을 참고하여 해결 virtual machine으로 프로비저닝중인증 오류가 발생해서다음 vm을 생성.. 2024. 5. 19. [Linux] ssh & telnet 하지만 연결이 되지 않는다. 이번에는 ssh로 접속 비밀번호를 저장한다는 내용 ??? ssh는 된다 firewall 설정을 보니 ssh는 기본적으로 방화벽 설정이 되어있다. + ssh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telnet은 그렇지 않다. telnet 설치 /etc/sudoers 파일에 root권한을 사용할수 있게 설정 sudo dnf -y install telnet-server 로 설치 설치 및 실행 완료 firewall-cmd --add-service=telnet --permanent 명령어로 (영구적)방화벽 설정 다시시도 비밀번호 입력 telnet 접속 성공 2024. 3.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