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jenkins10 [jenkins] gradle 플러그인 추가하기 Dashboard에서 Manage Jenkins 클릭 Plugins 클릭 Available plugins 클릭 gradle 검색 체크 후 우측 상단의 install 클릭 다운로드 완료 하단의 Restart Jenkins 클릭 재시동중 로그인 설치된 플러그인 확인 New Item 클릭 Freestyle project 클릭 소스코드를 가지고 올 git url입력 죄측 목록의 Build Steps 클릭 Add build step에서 Invoke Gradle script 클릭 Gradle 버전 선택 및 실행할 명령어 입력 Save 클릭 Build Now 클릭 빌드 중 Console output 화면 빌드 성공 2024. 7. 30. [jenkins] jenkins url 설정하기 jenkins에 slack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테스트 중 jenkins url 관련 문제가 발생했다. 문제점 CI가 성공하면 slack으로 알림을 보내고 변경된 코드를 JENKINS_URL 변수를 확인하여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빌드 클릭 빌드가 진행이 되고 slack으로 알림이 간다. 알림에는 링크가 있어서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링크 클릭시 해당 링크로 이동하지 않는다. 해당 빌드의 변경 사항을 확인할수 있는View Last Changes를 클릭하면은 정상적으로 접근이 된다. jenkins의 url을 복사해서 새로운 브라우저 창에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접근이 된다. 주소를 다시 확인해보니 현재 jenkins가 구동되고 있는인스턴스와 주소가 다르다. .. 2024. 7. 16. [jenkins] 리눅스에 publish over ssh로 파일 전송하기 publish over ssh로 다른 호스트에 파일을전송하려고 한다. ->remote host에는 파일이 전송될 디렉터리를명시해 놓지 않았다. 빌드 버튼을 클릭 빌드가 진행이 되고 빌드 완료후 Console output에서 build가 완료된것을 확인 remote host에 다른 경로를 지정해 주지 않았을때는호스트의 전송받는 유저의 홈디렉터리로 파일이 전송이 된다. 이번에는 /opt라는디렉터리로 명시해 주었다. 빌드 완료 후 전송받는 호스트의 /opt디렉터리를 확인해보면은파일이 보이지 않는다. 홈 디렉터리를 확인해보니이전에 전송된 파일이 있고아래에 /opt라는 디렉터리를생성해 놓은것을 확인할수 있다. 정확한 테스트를 위해홈 디렉터리의 파일들을 모두 삭제 디렉터리를 명시해.. 2024. 7. 8. [jenkins] publis over ssh 설정하기 Source files :생성된 artifact 파일의 경로를 작성 Remove prefix :삭제할 prefix를 명시 Remote Directory :파일을 전송받을 호스트에서 파일을 받을 위치를 입력 Exec command :파일을 전송받을 호스트에서 실행할명령어를 입력 저장 빌드 완료후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한다. 전송 받은 호스트의 유저의 홈디렉터리에서 파일 현황을 검색하면파일이 정상적으로 전송 된것을확인할수 있다. publish over ssh를 위한 설정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https://cloudinfrastructure.tistory.com/232 [other] 호스트간 ssh 설정하기jenkins에서 ec2 (혹은) 다른 호스트로 publish over ssh를사용.. 2024. 7. 4. [jenkins] publish over ssh "Failed to connect or change directory" 오늘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언제나 느끼지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나게 되면은무력감이 든다.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문제는 그저 해결되지 못한채로 남을 뿐이다.이러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다가 보면은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있을 것이다. 2024. 7. 4. [jenkins] linux에서 jenkins 실행시 에러 발생 발생한 문제 jenkins실행시 에러가 발생했다.--->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라고해서 실행 BindException이 발생했다고 하는것을 보니 port관련 문제인거 같다. 8080하고 bind하려다가8080포트가 이미 다른 서비스와bind되어 있어서 에러가발생한거 같다. jenkins가 사용할 포트를 설정 해주기 위해위의 파일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Service]" 아래에 위와같이 Environment="JENKINS_PORT=9999"로 jenkins가 사용할 포트를 지정해 준다. 바로 systemctl start jenkins를 입력하면 아마도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systemctl daemon-reload명령어를 실행해주고systemctl start jenkins.. 2024. 6. 27. [jenkins] 젠킨스에 git credential 등록하기 git에서 소스코드를 가지고 오려고 하던중에 에러 발생 500이면 서버에러인데 젠킨스에서 git에 요청을 보낼때문제가 발생한거 같다. -> 현재 jenkins를 윈도우에서실행하고 있으므로 지금보고 있는 화면은 jenkins클라이언트라고 할수 있지만 같은 장비에서 jenkins서버가돌아가고 있으므로 현재 장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역할을 모두다 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비에서 git에 요청을 보낼때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상황을 정리하면은 이런 그림이 될거 같다. -> client와 server가 같은 호스트에 있다. 해결방법 window에서는 github 계정으로 repository를clone할수 없게 되어있는거 같다.---> 아이디 비밀번호.. 2024. 6. 25. [Jenkins] 젠킨스에서 git 설정하기 아래의 글들을 참고 https://community.jenkins.io/t/cant-connect-to-git-repo/14640 Can't connect to git repoHello please I’m trying to comment jenkis to a public repository and each time I git this error Failed to connect to repository : Error performing git command: git.exe ls-remotecommunity.jenkins.io https://holjjack.tistory.com/283 [Jenkins] Jenkins 복구 후, git cloning remote repo 'origin' 오류 해결들어가며 .. 2024. 6. 24. [Jenkins] 윈도우에서 JENKINS_HOME 설정하기 https://www.jenkins.io/doc/book/managing/system-configuration/ Configuring the System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www.jenkins.io 2024. 6.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