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collinsdictionary.com/ko/dictionary/english/quota
쿼타에 대한 설명은 위의 링크를 참고
quota 테스트를 위한 디스크 추가
디스크 파티션 설정 및 포맷
파티션을 생성할 디스크
파티션 생성
파티션 포맷
마운트
quota 테스트에 사용할 유저 생성
유저 생성
quota를 위한 설정
/etc/fstab 파일에 위와 같이 입력해준다.
mount 의 remount 옵션을 사용해서 리마운트를 해주면 정상적으로 적용이 된것을 확인할수 있다.
파일이 없다.
/quotaTest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quotaoff -avug 입력
quotacheck augmn 입력
quataon -avug를 입력해서 quota를 켜준다.
aquota.user 파일이 생성되었다.
user1의 quota를 설정하기 위해
edquota -u user1 입력
위의 파일이 열리면 soft 와 hard에 각각 위의 값을 입력해준다.
---> "20480", "30720" 과 같이 숫자를 입력해 줄수도 있다.
위와 같이 입력하면 자동으로 변환해준다.
quota 테스트
user1의 계정으로 이동한다.
위의 파일을 /quotaTest/user1 디렉토리로 복사하여
quota테스트를 진행할 계획
예상 결과
soft와 hard가 각각 20M, 30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20M 즉 2번째로 복사했을때는 경고가 나오지만
파일은 정상적으로 복사가 된다.
3번째로 복사할때도 경고가 나오지만 3번째 파일
전체가 복사가 되는것이 아니라 최대 용량
즉, 30M (정확히는 30720)를 채울수 있는
만큼만 저장될거 같다.
(복사된 마지막 파일은 약 4MB 정도)
파일을 2번 복사 했을때는 경고가 발생한다.
---> soft로 설정해 놓았던 20M 를 초과했지만
파일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다.
3번째로 복사했을때는 쓰기에 실패했다는 문구가 나오고
3번째로 복사되는 파일은 hard로 할당된 30M에 도달할 만큼만의
데이터만 복사가 되었다.
결론
edquota -u 명령어를 이용해서 설정해준 soft의 용량을 넘으면은
경고가 문구가 출력되지만 파일은 정상적으로 복사가 된다.
그러나 hard로 제한한 용량을 초과하면은
경고 문구가 출력이 되고, 파일또한 hard로 설정된 용량을
채울수 있는 만큼만 복사가 된다.
후기
특정 사용자에게 용량을 할당해줄때 사용하면은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유용한
기능인거 같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mount & directory (0) | 2024.04.17 |
---|---|
[Linux] DNS - nameserver (0) | 2024.04.17 |
[Linux] shell script - authority (0) | 2024.04.15 |
[Linux] vi - open multiple files (0) | 2024.04.15 |
[Linux] installing xrdp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