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hosts 파일의 내용은 위와 같다.
/etc/resolv.conf 파일의 내용은 위와 같다.
이렇게 도메인 이름으로 핑 테스트 가능
외부 ip에 대해서도 동일
이번에는 /etc/resolv.conf 파일의 nameserver를 주석처리 하고 테스트 진행
주석처리 하고 나서는
도메인 명으로 핑 테스트 실패
/etc/hosts 파일에 8.8.8.8에 대해서 도메인명을 설정해 주고 테스트
테스트 성공
/etc/resolv.conf의 주석 해제
도메인 명을 이용해서 정상적으로 핑 테스트 성공
ps.
/etc/hosts 는 잘 사용되지는 않지만 사용은 가능하다.
웹 브라우저에서는 도메인 명으로 ip 주소를 찾을때 /etc/hosts
안의 내용을 먼저 확인한 다음에 /etc/resolv.conf안의
내용을 확인한다고 한다.
후기
/etc/hosts 파일에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명을 임의로
설정해서 사용할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DNS 라는 것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더 친숙해진거 같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NS - named (0) | 2024.04.17 |
---|---|
[Linux] mount & directory (0) | 2024.04.17 |
[Linux] Quota (0) | 2024.04.16 |
[Linux] shell script - authority (0) | 2024.04.15 |
[Linux] vi - open multiple files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