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lab
dhcp로 ip를 받아올때
어떠한 절차를 걸쳐서
받아오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dhcp server인 Server0의 dhcp 설정
dhcp 서버의 ip 설정은 위와 같다.
PC0의 ip 설정을 dhcp로 변경
PC0에서 packet 생성
Discover packet을 생성하고 내보낸다는 내용
---> Layer 7에서 생성되는 것을 보니
DHCP 프로그램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인거 같다.
DHCP 서버인 Server0에서 패킷 수신
DHCP server에 해당 패킷을 보낸 host의 ip가 없어서 찾는다는 내용
PC0에서 패킷 수신
PC0에서 수신한 패킷은 DHCP offer 패킷
offer 패킷에 담긴 ip
PC0이 Request packet을 생성
Server0이 Request packet 수신
DHCP server가 Act packet을 생성
Ack packet을 받기전의 PC0의 ip 설정 상황
Ack packet에도 ip 주소 데이터가 있다.
PC0이 Ack 패킷을 받아서 ip address로 설정했다는 내용
PC0의 ip 주소 설정 완료
결론
dhcp client가 dhcp 서버로부터 ip를 얻어오는 과정은
1. Client가 DHCP Discover 패킷을 생성
2. DHCP Server가 DHCP offer 패킷을 생성
3. DHCP Client가 DHCP Request 패킷을 생성
4. DHCP Server가 DHCP Ack 패킷을 생성
순으로 진행된다.
후기
패킷 트레이서를 활용하여
DHCP의 매커니즘에 대해서
알수 있었다.
마지막에 DHCP Server가 Client에게
Ack패킷을 보내는데,
TCP/IP가 Established를 하기위해서
SYN -> SYN/ACK -> ACK
하는 것이 생각났다.
네트워크의 관련 기술들의 작동 방식 및
사용하는 용어가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특정, 매커니즘에서 해당
단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유추할수 있는거 같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라우터에 eigrp 적용시 redistribute 사용하기 (0) | 2024.06.15 |
---|---|
[Newtork] routing protocol - ospf (0) | 2024.05.21 |
[Network] MSTP (Multiple Spanning-Tree-Protocol) (0) | 2024.05.15 |
[Network] RSTP (Rapid Spanning-Tree-Protocol) (0) | 2024.05.15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6 Convergence Time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