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lab
192.168.0.0/24 네트워크 대역의 패킷이 나가고
들어올수 있게 R3의 eigrp의 라우팅을 설정하려고 한다.
192.168.0.0/24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고 싶은
네트워크 대역은 8.8.8.0/24 대역의 호스트 8.8.8.8 이다.
R1 설정
R1의 라우팅 설정 및 eigrp 설정은 아래과 같다.
라우팅시 가장 마지막에 적용되는 라우팅 경로인 정적 라우팅의
목적지를 8.8.8.8로 설정해 놓았다.
(기본 라우팅 default routing은 0.0.0.0 0.0.0.0 으로 시작하는 라우팅을 말한다)
라우팅 순서
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 기본 라우팅
eigrp 설정 모드에서
redeistribute static 명령어를 사용해서 기본 라우팅을
eigrp topology에 추가 되도록 하였다.
R3 설정
R2의 라우팅 테이블은 위와 같다.
R3의 eigrp 설정은 위와 같다.
eigrp의 설정 모드에서
network 192.168.0.0 이라고 입력하면은
위와 같이 192.168.0.192 대역으로만
라우팅 설정이 적용된다.
즉, 위의 동그라미를 친 부분까지만 통신이 되고
위의 호스트가 있는 네트워크 까지는 라우팅이
되지 않는다.
해결방법
R3 라우터에
위와 같이 192.168.0.0/24 네트워크 대역으로 가는
정적 라우팅을 추가해준다.
정적 라우팅이 추가되었다.
R3의 eigrp 설정 모드에서
redistribute static 명령어를 사용해서
라우팅 테이블의 정적 라우팅 정보를
eigrp 설정에 추가해준다.
router에서 추가한 정적 라우팅이 eigrp 설정에 추가될때
192.168.0.0/24 대역으로 라우팅을 하도록 설정이
되었다.
pc2에서 8.8.8.8로 ping을 보냈을때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결론
eigrp 설정을 할때 추가할 네트워크 정보가
eigrp 라우팅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잘 숙지하고
있지않으면 의도치 않은 라우팅이 형성 될수도 있다.
후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한가지 방법만이 있는것은
아닌거 같다. eigrp 설정모드에서 바로 네트워크
대역의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아닌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해서 eigrp설정을
조금더 유연하게 할수 있었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packet-tracer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telnet 및 ssh 로그인 설정하기 (0) | 2024.08.07 |
---|---|
[network] layer 3 switch에서 int vlan간의 라우팅 설정하기 (1) | 2024.07.14 |
[Newtork] routing protocol - ospf (0) | 2024.05.21 |
[Network] dhcp (0) | 2024.05.16 |
[Network] MSTP (Multiple Spanning-Tree-Protocol) (0) | 202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