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목표
하나의 vm에 dns 서버(named)를 설치하고
다른 vm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테스트에 사용할 vm의 ip는 각각 아래와 같다.
192.168.219.110
192.168.219.109
VM WARE안에 두개의 vm이 실행되고 있는 상황
테스트를 위해 /etc/resolv.conf 파일안의 nameserver 설정을 모두 주석처리
---> 각각의 vm에 있는 파일들에 주석처리를 해준다.
주석처리를 하고 나서는 도메인 이름으로 핑 테스트를 할 수 없다.
dns 서버 역할을 하는 named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named 서비스 설치를 위해서 nameserver 주석을 잠시 풀어준다.
named 서비스를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bind 패키지를 설치
named 설치완료
각각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named를 실행
---> 혹시 위의 순서대로 했는데 dns 서버를 사용할수 없다면
systemctl restart named 명령어를 입력
/etc/named.conf의 내용 수정
1.
2.
3.
이렇게 각각 수정해 준다.
---> /etc/named.conf의 파일의 내용을 수정해 주고 나서
systemctl restart named 명령을 한번 더 입력해
주어서 named 서비스를 재시작
192.168.219.109 vm의 /etc/resolv.conf 파일 안의
nameserver들을 모두 주석 처리
실행되고 있는 named로 ping 테스트 성공
named를 정지
도메인 명으로 ping 테스트 실패
192.168.219.110에 named 가 실행되고 있는 192.168.219.109 vm
을 nameserver로 등록해준다.
192.168.219.110에서 도메인 명으로 핑 테스트 실패
192.168.219.109 vm에 dns 방화벽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dns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 192.168.219.110 vm에도 같은 설정을 해준다.
192.168.219.110 vm에서 핑테스트 성공
결론
dns 서버를 실행하고 있는 컴퓨터를
다른 컴퓨터에서 nameserver로 사용할수 있다.
후기
dns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사용함 으로서
외부의 dns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내부적으로도 dns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아직 리눅스 서비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리눅스와 더 친숙해 져야 겠다.
ps.
/etc/named.conf 파일은 네임 서버 서비스가
시작될때 제일 먼저 읽는 파일이라고 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mariadb - 설치 및 외부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0) | 2024.04.25 |
---|---|
[Linux] chmod - 다수의 파일 권한 변경하기 (0) | 2024.04.18 |
[Linux] mount & directory (0) | 2024.04.17 |
[Linux] DNS - nameserver (0) | 2024.04.17 |
[Linux] Quota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