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92

[linux] 오랜만에 linux에서 soft-link 생성하기 utubntu로 들어왔다가 Visual Studio Code 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니 언젠가는 사용할지도 모를 Intellij를 설치하고 싶어졌다.   1. intellij 다운로드   intellij 공식 사이트에 가서 최신 ultimate를 다운 받은뒤 압축 해제    다운로드 받은 파일중에 실행 파일인 idea.sh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디렉토리에서 터미널을 연다.   터미널에서 ./idea를 입력해주면 intellij가 실행이 된다.    2. 전역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 링크 설정하기  어디서든 idea라는 명령어만 입력하면은 intellij를 실행할수 있도록 설정 하려고 한다.  /bin 디렉토리에 idea라는 이름으로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idea.sh 파일을 가리키는 소프트.. 2025. 1. 30.
[linux] sqlectron 설치 및 사용하기 sqlectron 검색  Download GUI 선택  사용환경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현재 ubuntu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deb로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파일이 다운로드된 디렉터리로 가서설치  설치된 sqlectron 실행  Add 클릭  사용하려는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입력    Connect 클릭  테이블 조회가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 데이터도 정상적으로 조회가 된다. ps.react로 만들어진거 같다. 2024. 10. 27.
[linux] Ubuntu linux netplan 작동 방식 https://netplan.io/?_gl=1*11wox30*_gcl_au*MTk1NTYxNDkzMC4xNzIzOTk2ODM1*_ga*NjA2NjQzNjQ1LjE3MTYxMDY3NjI.*_ga_5LTL1CNEJM*MTcyNDA0MzEzMC4yNS4xLjE3MjQwNDMxNDUuNDUuMC4w Netplan | Canonical NetplanBackend-agnostic network configuration in YAML.netplan.io 2024. 8. 19.
[linux] ubuntu 서버간 samba 구축하기 samba 구축 구상도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서버에 samba-client를 설치     samba 서버와 통신을 할수 있게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방화벽 재시작   변경된 방화벽 설정 확인  samba 서버 역할을 할 서버에 samba 패키지 설치     samba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하기위한방화벽 설정 및 확인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   서버에서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공유 디렉터리에ㅐ 접근 가능한 그룹 생성생성한 그룹을 사용할 유저의 그룹에 추가공유할 디렉터리의 권한 수정공유 디렉터리에 samba로 접근할때 사용할 비밀번호 생성  samba 설정 파일을 연다  문자 인코딩 정보 추가인증 없이 접속을 허용해준다  workgroup 설정은 그대로 둔다.  공유할 디렉터리의 이름을 비롯해서적용할 .. 2024. 8. 9.
[linux] ubuntu에 nfs 설정하기 nfs 서버 클라이언트 구상도  NFS 서버 nfs-kernel-server 설치  공유 디렉터리로 사용할 디렉터리 생성  공유할 디렉터리를 설정하는 파일을 연다.  공유할 디렉터리와  접속 허용할 컴퓨터, 접근 권한 및 동기화 여부를 설정해준다.   nfs  포트를 사용할수 있게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방화벽 재시작   exportfs -v를 입력해 서비스가 가동중 인지를 확인  확인완료  공유할 디렉터리의 권한 설정   NFS 클라이언트     NFS 서버의 공유된 디렉터리의 정보 확인  서버의 공유 디렉터리와 마운트할 디렉터리 생성   NFS서버의 공유 디렉터리와 NFS 클라이언트의 디렉터리를 마운트  공유 디렉터리 테스트  파일이 공유 디렉터리로 복사된것 확인 2024. 8. 8.
[linux] ubuntu 에서 dovecot 설치하기 sudo apt install dovecot-imapd dovecot-pop3d 2024. 8. 6.
[linux] ubuntu의 /etc/sysconfig/network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라고 한다. 2024. 8. 6.
[linux] ssh 설정하기 server-2 에서 server-1으로ssh 접속을 하려고 한다.-> server-1은 ssh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고,server-2에는 ssh키가 생성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server-2에서 server-1으로 public 키를 복사하려고 하는데 복사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거 같다.    server-1에서 ssh설정 파일을 연다.    57행의 주석을  풀어주고   설정의 적용을 위해서 ssh서버를 재시작 해준다.---> ubuntu 에서는 ssh 서버의 이름이 ssh 이다  그리고 server-2에서 다시 ssh-copy-id를 하니정상적으로 키가 복사가 되었다.  server-1에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아까 풀어 주었던 주석을 .. 2024. 7. 31.
[linux] host 자기 자신과 ssh 통신하기 ansible은 ssh기반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ansible이 설치되어 있는 호스트에서 자기 자신과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키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는 ubuntu 유저로 로그인이 되어있다.  호스트 주소는 10.0.1.144이.  자기자신에게 ssh 통신을 시도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한다.-> 입력했으나 실패  다시시도-> 다시 실패  ssh 설정을 확인해가 위해서 위의 파일을 연다,   57행의 주석을    해제해주고  sshd를 재시작 해준다.-> 재시작을 반드시 해주도록 하자   최종 ssh 설정은 위와 같다.  ssh 설정 변경후 접속이 성공적으로 된다.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