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rk36 [network] 스위치 가상 인터페이스와 vlan간의 관계 Layer 3 Switch에 vlan 10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아직 vlan 10이 스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므로state나 protocol이 up이 되지 않는다. vlan 10을 생성하면은 state가 up 상태로 변경된다. int g0/1 인터페이스를 access mode로 설정하고, vlan 10을 사용하도록 설정 int vlan의 상태가 up으로 변경이 되었다. int g0/1가 vlan 10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switchport mode trunk 명령어를 입력하니 에러 발생 dot1q로 캡슐화 하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int vlan 10의 state와 protocol이 up 상태로 변경 sh int tr 명령어를 입력하.. 2024. 9. 3. [network] packet-tracer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telnet 및 ssh 로그인 설정하기 오늘의 랩 1. 라우터 클릭 후enableconfigure terminal입력 2. 접속에 사용할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설정 1. line vty 0 4 입력 2. transport inpu all 입력3. login local 입력 Telnet 1.pc2 클릭 후 Command Prompt 클릭 1. telnet 192.168.1.254 입력 2. 유저명 입력 3. 비밀번호 입력 1.exit를 입력해 접속 해제 SSH 1. ssh -l ccna 192.168.1.254 입력2. 접속이 되지 않는다. 1. 라우터 클릭 2. hostname R1 입력 3. ip domain-name test.com 입력 1. crypto key generate rsa general keys.. 2024. 8. 7. [network] layer 3 switch에서 int vlan간의 라우팅 설정하기 오늘의 lab. layer 3 스위치의 int vlan 설정은 위와 같다. vlan 10에 있는 pc0에서 vlan 20에 있는 pc4로ping을 보내려고 한다. ping을 보내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다. Router 0와 연결되어 있는 multilayer switch의 routing table을 확인해 보면은 위와 같이 아무런 정보도 없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multilayer switch에서 ip routing 명령어를 입력해 주어서 routing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해 준다. ip routing 명령어를 입력하고 난 다음에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 보면은 위와 같이 라우팅 테이블이 활성화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ping을 보내면 reply.. 2024. 7. 14. [Network] 라우터에 eigrp 적용시 redistribute 사용하기 오늘의 lab 192.168.0.0/24 네트워크 대역의 패킷이 나가고 들어올수 있게 R3의 eigrp의 라우팅을 설정하려고 한다. 192.168.0.0/24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고 싶은네트워크 대역은 8.8.8.0/24 대역의 호스트 8.8.8.8 이다. R1 설정 R1의 라우팅 설정 및 eigrp 설정은 아래과 같다. 라우팅시 가장 마지막에 적용되는 라우팅 경로인 정적 라우팅의목적지를 8.8.8.8로 설정해 놓았다.(기본 라우팅 default routing은 0.0.0.0 0.0.0.0 으로 시작하는 라우팅을 말한다) 라우팅 순서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 기본 라우팅 eigrp 설정 모드에서redeistribute static 명령어를 사용해서 기본 .. 2024. 6. 15. [Newtork] routing protocol - ospf 패킷 트래이서 ospf 프로세서 아이디 설정 area 및 area id 설정 2024. 5. 21. [Network] dhcp 오늘의 lab dhcp로 ip를 받아올때어떠한 절차를 걸쳐서받아오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dhcp server인 Server0의 dhcp 설정 dhcp 서버의 ip 설정은 위와 같다. PC0의 ip 설정을 dhcp로 변경 PC0에서 packet 생성 Discover packet을 생성하고 내보낸다는 내용 ---> Layer 7에서 생성되는 것을 보니DHCP 프로그램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인거 같다. DHCP 서버인 Server0에서 패킷 수신 DHCP server에 해당 패킷을 보낸 host의 ip가 없어서 찾는다는 내용 PC0에서 패킷 수신 PC0에서 수신한 패킷은 DHCP offer 패킷 offer 패킷에 담긴 ip PC0이.. 2024. 5. 16. [Network] MSTP (Multiple Spanning-Tree-Protocol) MSTP : vlan 마다 동작하는 STP를 여러개의 VLAN으로 묶어서 그룹별로 동작하게 한다. 2024. 5. 15. [Network] RSTP (Rapid Spanning-Tree-Protocol) RSTP : STP의 컨버전스 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6 Convergence Time ps.p.567 기본시간 : 프레임의 정상 Forwarding에 소요되는 시간은 최대 60초 Spanning-tree portfastLink Up과 동시에 Forwarding 단계로 바로 진행 Spanning-tree uplinkfast차단포트 (Block Port)를 빠르게 전송포트로 전환하기 위해서 설정---> 차단포트를 가지고 있는 엑세스 포트에 설정 Spanning-tree backbonefast루트 스위치를 포함한 전체 스위치에 적용---> 차단포트가 연결된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간접링크가 다운되었을때바로 Listening 단계로 전환 2024. 5. 1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