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92 [Linux] shell script - variable (string type) 쉘 스크립트에 작성된 내용 첫 번째 echo와 출력된 내용 두번째 echo와 출력된 내용 세번째 echo와 출력된 내용 네번째 echo와 출력된 내용 다섯번째 echo와 출력된 내용 결론 : 쌍따옴표("")로 감싼 변수는 echo 뒤에 작성했을시 해당 변수에 할당된 값이 출력되게 된다. 하지만 외따옴표(' ')로 감싼 변수는해당 변수에 할당된 값이 출력되는 것이 아닌해당 변수 이름을 문자열로출력하게 된다. ps. "\"를 변수 앞에 붙여도 해당 변수에 할당된 값이 아닌 해당 변수의 이름을 문자열로 출력하게 된다. 변수명만 작성했을시에도해당 변수에 할당된 값을 출력하게 된다. 2024. 4. 15. [Linux] LVM구현하기 - 2 사용할 논리볼륨생성 mkfs를 사용해서 포맷 -l 옵션에다가 용량을 숫자로 지정해주면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는거 같다. -l : --extents [PERCENT] 형식으로 사용한다. lvm1의 용량을 100%만큼 늘려준다.(여기서 100%는 해당하는 논리볼륨을 기준으로 하는 %인거 같다.) lvm1 논리볼륨의 크기를 줄여준다. 이번에는 +100%FREE로 작성해주면은 볼륨그룹에 남아있는 용량을 다 할당해주게 된다. ps. --size옵션을 사용하면은 정상 작동한다. 2024. 4. 11. [Linux] LVM 구현하기-1 LVM 생성하기 LVM구현에 사용할 디스크 목록 parted 명령어를 사용해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해준다. (--script 옵션은 프롬프트가 명령어를 입력할때 실행할 내용을 입력할수 있게 해준다.) /dev/sdc 디스크도 똑같이 해준다. 생성된 파티션의 물리볼륨을 생성해준다. 물리볼륨의 크기를 지정해준다. 생성된 물리볼륨 확인 이렇게 물리볼륨의 크기를 재설정 해줄수도 있다. 물리볼륨이 모두 생성되었다. 생성된 물리 볼륨으로 볼륨 그룹을 생성해준다. 생성된 볼륨그룹확인 볼륨그룹에서 논리그룹 생성1 볼륨그룹에서 논리그룹 생성2 --extents 명령어를 사용해서 볼륨 그룹의 나머지 용량을 마지막 논리 그룹에 할당해준다. .. 2024. 4. 11. [Linux] mdadm Command not found Rocky linux 에서 mdadm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을때 dnf -y install mdadm 명령어를 실행해서 명령어를 설치해주자 2024. 4. 11. [Linux] pv Command not found Rocky linux에서pv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을때 yum install lvm2 -y명령어를 사용해서 명령어를 다운받아 주자 2024. 4. 11. [Linux] hardlink & softlink 링크를 생성할 파일의 크기와 inode번호 ls -i에서 "i" 옵션은 inode번호를 맨 앞에 출력해준다. h옵션은 데이터 단위를 읽기 편하게 출력해준다. 하드링크 생성 생성된 하드링크는 원본 파일과 같은 inode번호를 가리키고 있고 파일의 크기도 같다. 소프트링크는 원본 파일과 다른 inode를 가리키고 있고, 크기또한 원본 파일과 다르다 원본 파일 삭제 하드링크는 문제가 생기지 않았지만, 소프트 링크는 문제가 생긴듯 하다. 하드링크는 정상 작동하나, 소프트 링크는 작동하지 않는다. ps. 하드링크는 디렉토리에 생성할수 없다. 소프트 링크는 디렉토리에 링크 생성 가능하다. 소프트 링크를 활용한 디렉토리 이동하기 2024. 4. 9. [Linux] DESCRIPTION - RAID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Independent Disks): 여러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하는 방식--->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가 있다. Linear RAID & RAID0: 2개 이상의 디스크를 1개의 볼륨으로 사용 Linear RAID: 앞 디스크가 완전히 저장되면 다음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RAID0: 모든 디스크를 동시에 사용---> 스트라이핑 방식 장점: 저장되는 시간, 속도적인 측면에서 모든 RAID방식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발휘. 단점: 하나의 디스크라도 문제가 생기면 전체 데이터 사용불가 RAID1:동일한 데이터를 각 디스크에 모두 저장하는 방식---> 미러링 장점: 2개의 디스크 중 하나가 고장 나.. 2024. 4. 7. [Linux] RAID1+0 생성하기 RAID1+0을 구현할때 사용할 디스크 목록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디스크에 파티션을 할당 !!!주의할점!!!RAID1+0은 RAID1을 먼저 생성한 다음에 mkfs명령어를 사용해서포맷을 하지 않고, RAID1들을 RAID0으로 묶고나서 포맷을 해주어야 한다. 첫번째 RAID1 생성 두번째 RAID1 생성 생성된 RAID1 목록RAID1들을 RAID0으로 묶어준다. RAID1+0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 마운트 테스트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하려면 /etc/fstab 파일에마운트할 파티션 + 마운트포인트 + 파티션 포맷 형식 + defaults + 0 + 0과 같이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문구를 작성해 주면은 된다. 2024. 4. 5. [Linux]240402_1 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vm에 edit창 열기 hard disk 선택 scsi 선택 (다른것도 선택 가능) 새로운 vm disk 생성 선택 2.여러개의 파일로 저장되게 설정 디스크 이름 설정 디스크가 추가되었음 하지만 linux에서는 아직 추가되지 않았다. (7G 디스크가 없다.) vm 재시동 재시동 후 추가한 디스크 확인 완료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 fdisk 명령어로 파티션을 나눌 디스크 선택후 커맨드에 "n" 입력 파티션 타입 선택 파티션 넘버 선택 첫번째 섹터는 " enter" 마지막 섹터는 할당할 용량 입력 "w"를 입력해 저장 1.두번째 파티션의 파티션 넘버 선택 2.last 섹터에 3G라고 입력하면 용량 부족으로 에러 발생---> 2G 혹은 enter 입력 .. 2024. 4. 2.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