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9 [linux] user에 sudo 권한 부여하기 /etc/sudoers파일을 연다. 108행 쯤에 sudo 를 사용하게 할 userd를 입력준다. --->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sud 명령어를 사용할수 ㅇ있도록 하려명 111행 쯤에 유저의 이름을 입력해준다. 2024. 7. 4. [jenkins] publis over ssh 설정하기 Source files :생성된 artifact 파일의 경로를 작성 Remove prefix :삭제할 prefix를 명시 Remote Directory :파일을 전송받을 호스트에서 파일을 받을 위치를 입력 Exec command :파일을 전송받을 호스트에서 실행할명령어를 입력 저장 빌드 완료후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한다. 전송 받은 호스트의 유저의 홈디렉터리에서 파일 현황을 검색하면파일이 정상적으로 전송 된것을확인할수 있다. publish over ssh를 위한 설정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https://cloudinfrastructure.tistory.com/232 [other] 호스트간 ssh 설정하기jenkins에서 ec2 (혹은) 다른 호스트로 publish over ssh를사용.. 2024. 7. 4. [other] 호스트간 ssh 설정하기 jenkins에서 ec2 (혹은) 다른 호스트로 publish over ssh를사용해서 jenkins 서버에서 빌드한 파일을 전송하려고 한다. private 키는 jenkins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호스트에 있고,public key를 jenkins가 데이터를 전송할 host에저장하려고 한다. 홈 디렉터리(.ssh 디렉터리(파일)이 있는)로 이동한다. public key 설정 사용할 ".pub"로 끝나는 파일의 내용을 복사해서 public key를 저장할 호스트의 .ssh 디렉터리의authorized_keys파일에 복사해준다.---> 없으면 touch 혹은 vi 명령어로 생성해준다. 퍼블릭 키가 잘 입력이 되었다. jenkins publish over ssh 설정 jenkins.. 2024. 7. 4. [jenkins] publish over ssh "Failed to connect or change directory" 오늘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언제나 느끼지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나게 되면은무력감이 든다.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문제는 그저 해결되지 못한채로 남을 뿐이다.이러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다가 보면은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있을 것이다. 2024. 7. 4. [github] 생성된 로컬 리포지터리를 github에 올리기 로컬 디렉터리가 아직 깃 리포지터리가 아닐때 git initgit add README.mdgit commit -m "first commit"git branch -M main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리포지터리 주소git push -u origin main 로컬 디렉터리가깃 리포지터리 일때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리포지터리 주소git branch -M maingit push -u origin main 2024. 7. 3. [C] 변수 메모리 할당 13 번째 줄에서 포인터 변수의 주소값을 출력하는코드를 작성해 놓았다. *pb에 temp의 값을 할당하기전이므로 *pb에는 20이 담겨있다. 2,4,5 번째에 모두 같은 값이 들어있는데도메모리의 주소값이 다르다. 특히 2번째는 포인터 변수 pb의 값을 역참조 한뒤의해당 값의 주소값을 출력하면 &pb의 주소값과 다른 값이 나온다. 2024. 7. 3. [linux] ubuntu 사용자 환경변수 할당하기 사용자 환경변수를 할당하기 위해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cd ~/ .profile 파일을 연다 사용할 환경변수의 이름과 디렉토리 위치를 입력하고 저장:wq echo로 환경변수를출력하면 아무런 결과도출력되지 않는다. source명령어로 수정된 스크립트 파일의 수정된내용을 적용 해준다 source 명령어 사용후에환경변수가 정상적으로 출력이 된다. 2024. 7. 3. [C] struct 변수선언과 메모리 할당 위와 같이 변수가 선언되어 있을때 struct의 크기는 자료형이 가장 큰 int 형의 크기인 4byte를 기준으로4*7=28즉, 28이 될것만 같다. 하지만 크기는 16이된다. 잘 보면 char a의 주소는 "0"으로 다음 int b의 주소인 "4"까지 패딩이 포함된 크기를 가지고 있다. int b이후의 연속된 char c,d,e,f는 주소가 1byte씩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후기아마도 선언된 struct에 메모리를 할당해줄때 가장 큰 자료형을 가진 변수를 기준으로 메모리를 할당해, 자료형의 크기가 작은 변수에 패딩을 추가해 주지만,연속된 변수들의 자료형의 크기가 struct에 선언된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보다 작고 연속된 변수의 합이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와 같을때 패딩을 추가해 .. 2024. 7. 3. [C] struct 변수 선언 순서에 따른 크기 변화 위와 같은 struct가 있을때 struct의 크기는 8이 될것이다. char, char, int 순서로변수가 선언되어 있을때도 struct의 크기는 8이다. 그런데 char, int, char 순서로struct가 선언되어 있으면은 struct의 크기는 12가 된다. 후기오늘과 같은 개념을 숙지하고 있기 위해서는많은 관심이 필요할거 같다. 느낀점it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된 지금은 RAM이라는 존재가 그저 용량, 클럭같은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어떤 프로그램이다, 앱을구동할때 신경써야하는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프로그램이나, 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RAM이 필요하게 되고 램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다.C를 공부하면서 JAVA와는 다르게 메모리에 대해서 더 많이 .. 2024. 7. 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