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9

[aws] 터미널에서 aws s3에 파일 업로드 하기 버킷 만들기 클릭  버킷 이름 입력   터미널에서 aws에 접근할때 사용할사용자를 생성하기 위해 IAM 검색   사용자 클릭  사용자 생성 사용자 이름 입력  직접 정책 연결  AdministorAccess 선택   다음 클릭  사용자 생성 클릭user1 사용자가 생성이 되었다.   엑세스 키 생성 클릭  CLI 선택  주의사항 체크  태그 입력 및 엑세스 키 만들기 클릭   키 생성 완료  .csv 파일 다운로드 클릭  cli 설치를 위해 구글에 aws cli 검색 windows 클릭  터미널을 열고 msiexec.exe /i https://awscli.amazonaws.com/AWSCLIV2.msi 입력   설치가 완료된 후새로운 터미널을 열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  aws에 접근할때 사용할 정보를 저.. 2024. 11. 12.
[other] 윈도우 cmd에서 드라이브 이동하기 c 드라이브에서 e 드라이브로 이동하려고 한다.   cd /d 를 입력   e드라이브로 이동이 되었다.  아래의 글을 참고함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7420992/in-cmd-bat-i-can-change-dir-from-c-to-d-but-not-other-way-aroundcd /d "D:\" D:\>cd /c "C:\" The filename, directory name, or volume label syntax is incorrect. D:\> when I..." data-og-host="stackoverflow.com" data-og-source-url="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7420992/in-cmd-bat.. 2024. 11. 12.
[aws] s3 사용하기 s3검색  버킷 만들기 클릭  버킷 이름 입력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 체크 해제  경고문 체크  버킷 키 비활성화  버킷 만들기 클릭  "_"를 사용하면은 안되는거 같다.  "-"로 변경하였지만,공백도 허용하지 않는거 같다.  공백 제거 버킷 만들기 클릭  버킷이 생성되었다.  폴터 만들기 클릭  폴더 이름 입력  폴더 만들기 클릭  폴더가 생성되었다.  업로드 클릭  파일추가 클릭  창이 열리면 추가할 파일을 선택-> 위와 같이 선택한 파일이 추가가 된다.   업로드 클릭 jpg 파일이 추가 되었다. 파일을 클릭해서 객체 url을 클릭  객체url로는 파일을 확인할수 업는거 같다.  뒤로 가기-> 열기 클릭 사진을 확인할수 있다.  결론s3를 사용해서 폴더 생성 및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  후.. 2024. 11. 11.
[docker] dockerhub에 이미지 push하기 현재 있는 이미지에 태그를 생성   생성된 태그를 확인  dockerhub로 이미지를 푸쉬한다.   리포지터리가 생성되었다.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었다. 2024. 11. 2.
[docker] 터미널에서 docker login시 에러 발생 터미널에서 docker login시 에러가 발생하였다 해결방법  gpg 키를 생성    pass init 입력   도커 데스크탑의 설정 파일을 연다  credStore의 값을  pass로 수정한다   도커를 재시작한다   docker login 입력  도커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되었다.   gpg 키 생성하는법https://docs.docker.com/desktop/get-started/ Sign inExplore the Learning center and understand the benefits of signing in to Docker Desktopdocs.docker.com 2024. 11. 2.
[docker] react 앱을 컨테이너 이미지로 생성하기 react 이미지를 생성하는도커 파일은 위와 같다.   test_frontend 라는 이름으로이미지 빌드   db와 backend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test network에서test_frontend 컨테이너를 실행  실행된 앱에서 브라우저로로그인시 에러 발생      요청을 보내는 주소가 localhost로 되어 있다.    도커가 생성한 test 네트워크에서 실행 중인 test-db는  172.18.0.1 네트워크에서 실행되고 있고ip 주소는 172.18.0.2이다.  test_backend정보 검색   test_backend는172.18.0.1네트워크 대역에서 실행중이고ip 주소는 172.18.0.3이다.    test_frontend는   172.18.0.1네트워크에서 실행 중이고ip 주소는.. 2024. 10. 27.
[other] ubuntu linux에 node 설치하기 node를 검색해서 첫 페이지의Download Node.js클릭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opt 디렉터리로 압축 해제된 파일을 옮겨준다.    /opt/node-v20.18.0-linux-x64/bin/node 를/bin/node로 소프트링크를 생성해 준다.  node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ps.npm 설치시 sudo apt install npm으로 설치하였다. 결론리눅스를 사용하다가 보면은컴퓨터와 더욱더 친해지는거 같다. 후기간만에 컴퓨터적인 사고를 하게 되었다. 2024. 10. 27.
[docker] springboot 어플리케이션 multi-stage 빌드하기 Docker file의 내용은 위와 같다.  이미지를 빌드시 에러 발생  파일은 못찾는다고 하니위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게 수정한다.  이미지를 다시 빌드하고  실행해보면은 위와 같이 파일이 있다.-> 파일이 2개 있어서 그런거 같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WORKDIR를 사용해서디렉터리를 생성해주고 코드를생성한 디렉터리로 가지고 와서 작업을하도록 하였다.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었다. ps.  WORKDIR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을 옮기려면아래와 같이/home/gradle/build/libs/ch8_4-0.0.1-SNAPSHOT.jar와 같이 작성해 주면은 된다.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된다.  결론이전 스테이지에서 결과물을 가지고 올때는위치를 명확하게 작성해 주어야 한다.  후기도커는 .. 2024. 10. 27.
[linux] sqlectron 설치 및 사용하기 sqlectron 검색  Download GUI 선택  사용환경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현재 ubuntu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deb로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파일이 다운로드된 디렉터리로 가서설치  설치된 sqlectron 실행  Add 클릭  사용하려는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입력    Connect 클릭  테이블 조회가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 데이터도 정상적으로 조회가 된다. ps.react로 만들어진거 같다. 2024.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