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랩
핑테스트
R1 -> R3
성공
핑테스트
R3 -> R1
성공
static route가 아닌
dynamic route 프로토콜인
RIP을 적용한 lab
핑테스트
R1 -> R3
성공
핑테스트
R3 -> R1
성공
ps.
자동 축약 test
network 주소는 10.0.0.0인데
자동 축약이 되어서 10.0.0.0
으로 등록이 된다.
결론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은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서브넷을
신경쓰지 않아도 동적으로
라우팅을 해주는 편리함이 있다.
후기
네트워크 주소를 자동 축약이 되지 않도록
했음에도불구하고 네트워크 주소가 자동 축약이
되어서 저장된다. 이러한 특징을 잘 알고 있으면
네크워크 설계시 시행 착오를 줄일수 있을거 같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vlan - trunking - 1 (0) | 2024.04.22 |
---|---|
[Network] Routing - inter-vlan routing (0) | 2024.04.20 |
[Network] vlan - default vlan (0) | 2024.04.19 |
[Network] VLAN - vlan 없을때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0) | 2024.04.19 |
[Network] ACL - implicit deny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