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1
오늘의 lab
핑테스트 결과
vlan 10
vlan 20
명령어를 입력해서 vlan 생성
f0/1과 f0/2를 vlan 10으로 묶는다.
설정이 적용된 상황
모든 호스트가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데도
핑테스트 실패
시나리오 2
서브넷팅을 하고
vlan 10 이 적용된 호스트들은 router interface 0/1의 192.168.1.62를 게이트 웨이로
vlan 20 이 적용된 호스트들은 router interface 0/0의 192.168.1.126을 게이트 웨이로 설정
여전히 핑테스트 실패
switch의 interface 0/6에 vlan 10 적용
switch의 interface f0/5에 vlan 20 적용
switch의 interface들이 vlan에 적용되어 있는 상황
router의 interface와 연결되어 있는
switch의 interface에 vlan 을 적용시킨 후
ping test 성공
PC2와 PC3에서 패킷 출발
스위치 도착
access port로 나간다고 한다.
access vlan으로 설정되어 있다.
목적지는 default-gateway로 설정되어 있는 router의 interface
router 도착
결론
switch에서 vlan 설정으로 host들을 분리하고
router를 거쳐서 서로 통신할수 있게 할수 있다.
후기
vlan과 subnetting을 응용해서
host간의 통신 영역을
나눌수 있었다.
subnetting을 하지 않으면 router와 switch사이에
하나의 통로밖에 생기지 못하고,
router의 interface에는 중복된 주소를 할당할수
없다.또한 switch의 interface에도
중복된 vlan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subnetting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나누어서
router와 switch간의 통로를 2개를
생성함 으로서 문제를 해결할수 있었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vlan - tunking - 2 (1) | 2024.04.25 |
---|---|
[Network] vlan - trunking - 1 (0) | 2024.04.22 |
[Network] Routing Protocol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0) | 2024.04.20 |
[Network] vlan - default vlan (0) | 2024.04.19 |
[Network] VLAN - vlan 없을때 인터페이스에 적용하기 (0)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