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lab
먼저 각각의 스위치가 연결된 인터페이에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port mode trunk
switchport nonegotiate
명령어를 입력해 준다.
vtp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생성되어 있는
vtp의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domain명은 비어있고,
vtp mode 가 서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다른 3개의 스위치 또한 동힐하게 설정되어 있다.
4개의 switch에 각각
vtp domain test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준다.
S1에서 vlan 10,20,30
을 추가 해준다.
domain 명과 vlan 모두 잘 입력되었다.
vlan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revision number가
올라가는거 같다.
4개의 스위치 모두 server mode 이므로,
같은 vlan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는 S2,S3를 각각
Client, Transparent로
vtp mode를 변경해 준다.
각각
vtp mode client
vtp mode trasparent
를 입력해준다.
vtp mode가 client인 S2 에서는 vlan의 삭제, 혹은 추가가 불가하다.
vtp mode 가 transparent인 S3 에서는
vlan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
그러면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vtp mode 가 server 인 S1에서 vlan 100을 추가 했다.
vtp mode가 client 인 S2의 vlan은
S1의 vlan 과 같은 상태가 되지만
vtp mode가 transparent인 S3는 S1의 vlan
과 같은 상태가 되지 않는다.
또한 vtp mode 가 client 인 스위치와 transparent인
스위치는 자신의 vlan 정보를 다른 스위치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그러나
vtp mode가 client인 스위치는 server인 switch의
vlan 정보에 의해서 자신의 vlan 정보도 변경 되지만
vtp mode가 transparent인 switch는
vtp mode가 server인 스위치의 정보로
자신의 vlan 정보를 수정하지도 자신의 vlan 정보를
공유하지도 않는다.
결론
vtp를 활용하여 switch의 vlan 정책을
결정하여 vlan을 관리할수 있다.
후기
vtp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볼수 있는
lab 이었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vlan - Native Vlan (0) | 2024.05.02 |
---|---|
[Network] trunk -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0) | 2024.05.02 |
[Network] vlan - int vlan (1) | 2024.04.25 |
[Network] vlan - tunking - 2 (1) | 2024.04.25 |
[Network] vlan - trunking - 1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