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tork

[Network] vlan - Native Vlan

by seohan1010 2024. 5. 2.

 

 

 

 

 

오늘의 lab

 

 

스위치 사이의 native vlan은 같아야 한다. 

 

 

Switch0와 Switch1 모두 Native vlan을 10으로 설정해 주었다.

 

 

 

 

 

 

이번에는 Switch1의 native vlan을 20으로 설정해 보았다.

 

 

 

 

 

 

Switch1과 Switch2 에서 native vlan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알림이 뜬다.

 

 

native vlan은 switch가 vlan 태그가 없는 802.1q 프레임을 받았을때

부여해주기 위해서 있는 것이라고 한다.

 

 

결론

switchport에 native vlane을

설정해 줄수 있다.

 

 

 

후기

native vlan이 vlan 태그가 없는 802.1q 프레임을

받았을때 native vlan으로 지정해준 vlan

태그를 해준다는 의미인거 같은데

정확한 것은 다음 lab에서 진행해 봐야겠다.

 

 

 

 

ps.

 

route의 서브 인터페이스 에서도 native vlan을 부여해 줄 수 있다고 한다.

ex) f0/0.10 이라는 서브 인터페이스가 있을때 

해당 인터페이스로 들어가서

 

 

 

encapsulation dot1Q 10 native

이런식으로 작성해 주면은 된다.

 

 

 

스위치에서와 같이 native vlan 이라고 뜨지는 않는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2  (0) 2024.05.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  (0) 2024.05.14
[Network] trunk -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0) 2024.05.02
[Network] vlan - vtp  (0) 2024.05.01
[Network] vlan - int vlan  (1)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