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lab
먼저 priority가 가장 낮은 스위치를
root switch로 선발
root switch를 제외한 스위치에서 root port를 선정
SW3에는 fast ethernet 케이블 2개가 연결되있다.
root switch의 모든 포트는 designate port 이다.
포트 선정 기준을 보면 아래와 같다.
기준 1. path cost
기준 2.인접스위치의 bridge id가 낮은순
기준 3. 인접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순
기준 4. 본인 현재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 순
path cost는 두개의 케이블 모두 같다.
bridge id 또한 두개의 케이블 모두 같다.
인접스위치의 port id는 F 0/3이 낮으므로
F 0/3이 root port가 된다.
designate port 선정
마지막으로
alternate port 선정
결과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 - 1 (0) | 2024.05.15 |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4 (0) | 2024.05.15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2 (0) | 2024.05.15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 (0) | 2024.05.14 |
[Network] vlan - Native Vlan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