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 종류 결정과 관련한 내용은 이전의 포스트를 참고
https://cloudinfrastructure.tistory.com/7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
STP (Spanning Tree Protocol) 은 루프를 방지하는 프로토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s://blog.naver.com/4glac/223001098478 STP(Spanning Tree Protocol)STP(Spanning Tree Protocol) 트래픽의 Looping을 방지하는 프
cloudinfrastructure.tistory.com
오늘의 lab
mac 주소를 bridge id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priority number를 부여하였다.
---> proiority number가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priority number 부여 명령어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
ps.
fast ethernet의 path cost는 19
gigabit ethernet의 path cost는 4 이다.
priority number가 가장 낮은 스위치를 루트 스위치로 선정
root switch를 제외한 다른 스위치들의 root port 선정
---> root switch의 모든 포트는 designate 이므로
스위치들의 designate 선정
이구간의 designate 포트는 해당 구간 기준 root switch 까지의 path cost 가 가장 낮은
쪽의 포트를 선정
pathcost 가 4인 쪽의 포트를 designate 포트로 할당
마지막 남은 포트를 block port로 지정
결과확인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4 (0) | 2024.05.15 |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3 (0) | 2024.05.15 |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 (0) | 2024.05.14 |
[Network] vlan - Native Vlan (0) | 2024.05.02 |
[Network] trunk -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0)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