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s280

[Linux] named - reverse lookup /etc/named.rfc1912.zones 파일에 위의 내용을 추가    named-checkconf 명령어로 설정 파일을 확인해준다.    /var/named/mail.rev 파일에 위와 같이 PTR 레코드로 작성     named-checkzone 명령어로 mail.rev 파일을 검사     dns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다른 vm에서 /etc/resolv.conf 파일의  namerserver를 dns server가 있는 vm의 ip 주소로 변경한 후도메인 명으로 ping 테스트 성공 2024. 5. 10.
[Linux] 메일 서버 구축하기 - 2 (메일서버 구축 구축) 시나리오 dns server, mail server, mail clientvm을 각각 생성한다.       mail server와 mail client에는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메일 프로토콜과 관련된 방화벽 설정을 해주고    dns server가 있는 vm에는 dns 관련 방화벽 설정을 해준다.   메일 서버 설정    sendmail-cf dovecot 패키지 설치     위의 경로로 이동    85행쯤의 내용을      메일서버의 도메인 명으로 수정      위의 경로로 이동     위의 2줄을 추가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sendmail 데이터베이스 맵 작성     위의 경로로 이동      24행쯤의 주석 해제     30행쯤의 주석을 해제     33행쯤의 주석을 해제    위의 경로.. 2024. 5. 10.
[Linux] 메일 서버 구축하기 - 1 (dns 구축) /etc/named.conf 파일을 위와 같이 수정     named.confg 파일 검사   named.rfc1912.zones 파일 아래에 정방향 zone 파일 및 역방향 zone 파일의 위치를 지정     /var/named 디렉토리로 이동    named.empty 파일을 복사해서 spring.com.zone 과mail.rev를 생성해준다.    spring.com.zone 파일과 mail.rev 파일의 소유 그룹을  named 로 변경     이메일 관련 정방향 정보를 위와 같이 작성      이메일 관련 역방향 정보를 위와 같이 작성     named-checkzone 명령어로 각각의 파일들을 검사     /etc/resolv.conf에 nameserver를 위와 같이 변경    named를 .. 2024. 5. 10.
[Linux] dns - unkown RR type 'mail', unknown class/type 에러 발생시 대처법 dns 설정을 위한 /etc/named/ 디렉터리에 있는 zone 파일  name-checkzone 명령어로 검사를 하니 에러 발생     이번에는 vim 열었다    mail에 빨간색으로 강조가 되어있다.     이렇게 맨 왼쪽으로 가게,수정을 하니 빨간색 강조 표시가 사라졌다.    named-checkzone명령어를 사용한 검사 성공 2024. 5. 7.
[Linux] dns - named-checkzone 명령어가 없을때 dmf -y install bind-utils 명령어를 입력해서 named-checkzone 명령어를 설치해 준다 2024. 5. 7.
[Linux] php 설치시 apx 경로 관련 에러 발생시 php를 make를 사용해서 설치하려고 한다.     에러 발생    /usr/local/apache/bin/apx 파일을 연다.    #!/usr/local/apache/bin/apxs -w 를      #!/usr/bin/perl -w 로 변경 해준다.   다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configure --with-apxs2=/usr/local/apache/bin/apxs --with-config-file-path=/usr/local/apache/conf    아까 전에 오류가 났던 부분이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     설치 완료   https://wnstjqdl.tistory.com/entry/PHP-%EC%84%A4%EC%B9%98%EC%8B%9C-configure-error-Sorry-I.. 2024. 5. 3.
[Network] vlan - Native Vlan 오늘의 lab  스위치 사이의 native vlan은 같아야 한다.   Switch0와 Switch1 모두 Native vlan을 10으로 설정해 주었다.      이번에는 Switch1의 native vlan을 20으로 설정해 보았다.      Switch1과 Switch2 에서 native vlan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알림이 뜬다.  native vlan은 switch가 vlan 태그가 없는 802.1q 프레임을 받았을때부여해주기 위해서 있는 것이라고 한다.  결론 switchport에 native vlane을 설정해 줄수 있다.    후기native vlan이 vlan 태그가 없는 802.1q 프레임을 받았을때 native vlan으로 지정해준 vlan 태그를 해준다는 의미인거 같은데 정확한 것은 .. 2024. 5. 2.
[Network] trunk - DTP (Dynamic Trunking Protocol) DTPvlan을 알 수 있는 2개의 스위치 간에 trunking을 협상하고, trunking 캡슐화의 타입을 협상하는 프로토콜이다. ---> VLAN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해 스위치 간 트렁크 설정이 필요할때 사용       인터페이스에 설정할수 있는 trunkport 타입은 3가지 가 있다.   mode dynamic으로 설정시 auto desirable 2가지 가 있다. 그러므로 interface에 설정할수 있는 switchport 모드는 mode access mode trunkmode dynamic auto mode dynamic desirable 이렇게 4가지가 된다.  스위치의 기본 동작 모드는 access 이다. 2024. 5. 2.
[Network] vlan - vtp 오늘의 lab   먼저 각각의 스위치가 연결된 인터페이에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switchport mode trunkswitchport nonegotiate명령어를 입력해 준다.   vtp status 명령어를 입력하면 생성되어 있는vtp의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domain명은 비어있고,vtp mode 가 서버로 설정되어 있다.  즉, 다른 3개의 스위치 또한 동힐하게 설정되어 있다. 4개의 switch에 각각vtp domain test라는 명령어를 입력해 준다.  S1에서 vlan 10,20,30을 추가 해준다.    domain 명과  vlan 모두 잘 입력되었다.vlan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revision number가올라가는거 같다.  4개의 스위치 모.. 2024.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