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s280

[Network] MSTP (Multiple Spanning-Tree-Protocol) MSTP : vlan 마다 동작하는 STP를 여러개의 VLAN으로 묶어서 그룹별로 동작하게 한다. 2024. 5. 15.
[Network] RSTP (Rapid Spanning-Tree-Protocol) RSTP : STP의 컨버전스 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6 Convergence Time ps.p.567 기본시간 : 프레임의 정상 Forwarding에 소요되는 시간은 최대 60초  Spanning-tree portfastLink Up과 동시에 Forwarding 단계로 바로 진행   Spanning-tree uplinkfast차단포트 (Block Port)를 빠르게 전송포트로 전환하기 위해서 설정---> 차단포트를 가지고 있는 엑세스 포트에 설정   Spanning-tree backbonefast루트 스위치를 포함한 전체 스위치에 적용---> 차단포트가 연결된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간접링크가 다운되었을때바로 Listening 단계로 전환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5 동작 절차 1. 전체 스위치 중 루트 스위치 선정2. 루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에서루트 포트를 하나씩 선정3. 스위치 세그먼트당 데지그 네이트포트를 하나씩 선정4. 얼티메이트 포트 선정  ps.세그먼트 : 2개의 스위치 사이의 구간을 지칭하는 말 2024. 5. 15.
[Network] 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 - 1 BPDU : STP를 동작하는 과정에서 스위치 간 BPDU 패킷을 주고 받아서루프가 없는 링크를 구성할수 있게 해준다. BPDU의 종류에는 Configuration BPDU와 TCN BPDU 2가지가 있다.  ps.p.548 Configuration BPDU스위치가 사용하는 BPDU로 루트 스위치 선출 및 스위치 포트의 역할을 지정 한다. 또한, Configuration은 root switch만 생성한다.    TCN BPDU스위치의 상태 변화에 관련된 특정 링크가 다운되거나 업되는 것과 같이네트워크상 토폴로지의 변화가 생기면 이러한 변화를 루트 스위치에 알린다.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4 오늘의 lab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서 스위치들의 priority를 설정해 준다. spanning-tree vlan 1 priority 우선순위 번호       priority가 0인 스위치가 루트 스위치가 되고, 루트 스위치를 제외한 스위치에서 root port 선정   루트 스위치를 포함한 모든 스위치에서 designate port 선정    마지막으로 alternate 포트를 선정   결과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3 오늘의 lab       먼저 priority가 가장 낮은 스위치를root switch로 선발   root switch를 제외한 스위치에서 root port를 선정 SW3에는 fast ethernet 케이블 2개가 연결되있다. root switch의 모든 포트는 designate port 이다. 포트 선정 기준을 보면 아래와 같다.기준 1. path cost기준 2.인접스위치의 bridge id가 낮은순기준 3. 인접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순기준 4. 본인 현재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 순 path  cost는 두개의 케이블 모두 같다.bridge id 또한 두개의 케이블 모두 같다.인접스위치의 port id는 F 0/3이 낮으므로F 0/3이 root port가 된다.     designat..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2 포트 종류 결정과 관련한 내용은 이전의 포스트를 참고 https://cloudinfrastructure.tistory.com/7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STP (Spanning Tree Protocol) 은 루프를 방지하는 프로토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s://blog.naver.com/4glac/223001098478 STP(Spanning Tree Protocol)STP(Spanning Tree Protocol) 트래픽의 Looping을 방지하는 프cloudinfrastructure.tistory.com        오늘의 lab  mac 주소를 bridge id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priority number를 부여하였다.-.. 2024. 5. 15.
[Network] STP (Spanning Tree Protocol) - 1 STP (Spanning Tree Protocol) 은 루프를 방지하는 프로토콜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s://blog.naver.com/4glac/223001098478 STP(Spanning Tree Protocol)STP(Spanning Tree Protocol) 트래픽의 Looping을 방지하는 프로토콜이다. 스위치에 기본으로 활성...blog.naver.com   요약기준 1. path cost기준 2.인접스위치의 bridge id가 낮은순기준 3. 인접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순기준 4. 본인 현재 스위치의 port id가 낮은 순  알아두자스위치 사이의 구간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오늘의 lab     bridge id가 가장 낮은 스위치가 root switch로 .. 2024.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