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 3 Switch에 vlan 10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였다.
하지만 아직 vlan 10이 스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state나 protocol이 up이 되지 않는다.
vlan 10을 생성하면은 state가 up 상태로 변경된다.
int g0/1 인터페이스를 access mode로 설정하고,
vlan 10을 사용하도록 설정
int vlan의 상태가 up으로 변경이 되었다.
int g0/1가 vlan 10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switchport mode trunk 명령어를 입력하니 에러 발생
dot1q로 캡슐화 하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int vlan 10의 state와 protocol이
up 상태로 변경
sh int tr 명령어를 입력하기 vlan 1,10 이 allowed vlan으로 되어 있다.
allowed vlan all을 입력하면 switch에 존재하는 모든
vlan들이 통과할수 있게 해주는거 같다.
ps.
vlan 1만 허용하도록 변경
vlan 1 만 허용하도록 변경 되었다.
-> int vlan 10의 상태에 아무 변화가 없다.
trunk 모드 해제
trunk 모드를 사용중인 인터페이스가 없다.
int vlan 10은 아직도 up/up 상태이다.
-> 왜 이렇게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후기
Multilayer switch에서 가상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가상 인터페이스와 상응하는 vlan을
생성해 주어야 하고, 해당 vlan을 사용하는
access 혹은 trunk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결론
가상 인터페이스와 vlan 그리고 물리 인터페이스의
관계를 다시 한번 정리 할 수 있었다.
'newt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packet-tracer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telnet 및 ssh 로그인 설정하기 (0) | 2024.08.07 |
---|---|
[network] layer 3 switch에서 int vlan간의 라우팅 설정하기 (1) | 2024.07.14 |
[Network] 라우터에 eigrp 적용시 redistribute 사용하기 (0) | 2024.06.15 |
[Newtork] routing protocol - ospf (0) | 2024.05.21 |
[Network] dhcp (0) | 2024.05.16 |